운영체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운영체제 시험문제 - (리뷰 정리 서술형) 단일 사용자 시스템 -> 다중 프로그래밍으로 변한 동기 단일 사용자 시스템이란? 더보기단일 사용자 시스템은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동기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다가 다른 프로세스의 처리를 필요로 할 때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하나의 CPU와 주기억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처리 할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다. 고정 분할이란 무엇이고, 고정 분할은 기억장치의 각 분할 공간에 무엇이 발생하는가?더보기- 주기억장치를 일정 수의 고정된 크기들로 분할하여 CPU가 여러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방식(대신 이 방식은, 기억장치의 각 분할 공간에 대한 내부 단편화와 외부단편화가 발생) 고정 분할의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도입한 시스템은? .. 더보기 운영체제 - (리뷰 정리 시험문제) 정리 1. 운영체제의 발전은 급진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 진화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다음의 각 변이에 대해서 운영체제 설계자가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을 만들어내게 된 주 동기를 기술하시오. 1-1. 단일 사용자 시스템 -> 다중 프로그래밍단일 사용자 시스템은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이다.따라서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다가 다른 프로세스의 처리를 필요로 할 때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하나의 CPU와 주기억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처리 할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다.★=> cpu처리량 증가, 다중 프로그래밍(주 기억장치 여러 개 프로세스 존재 => 프로그램(cpu명령, 입출력 명령) 1-2. 고정 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더보기 운영체제 - 12주차 (교착상태) 11주차에 설명한 병행 처리에서병행 프로세스의 문제는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에는 어느 한 시점에 하나의 프로세스가 할당 되어 수행되는데,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병행처리 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문제에서 해결방법 4가지가 존재하는데. 임계구역상호 배제 기법동기화 기법(세마포어, 모니터)교착 상태 해결이 있따. 컴퓨터 시스템은 한정된 수의 자원으로 구성되어있다. ☞교착 상태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스가 발생될 수 없는 어떤 특정 사건(event)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특정 프로세스가 특정한 자원을 위하여 무한정 기다려도 도저히 해결 할 수 없는 상태 - 교착상태는 컴퓨터 시스템의 효율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 하나 이.. 더보기 운영체제 (11주차 - 프로세스 간 동기화 및 통신) 스레드(Thread)-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이면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이다.- 하나의 프로세스에 하나의 스레드 = 단일 스레드 , 하나의 프로세스에 하나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는 경우 = 다중 스레드- 프로세스의 일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량 프로세스라고도 함.-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소프트웨어적 접근 방법이다. 스레드의 분류 사용자 수준의 스레드 :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운용함 ㄴ 단점 : 속도는 빠르지만 구현이 어려움 커널 수준의 스레드 : 운영체제의 커널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함 ㄴ 단점 : 구현이 쉽지만 속도가 느림.. 더보기 운영체제 (10주차 - 디스크 스케줄링과 파일시스템(2)) 운영체제 - 논리적 저장 단위인 파일을 정의하고 메모리에 매핑 시키는 파일 시스템(시스템 소프트웨어) 기능 제공 파일시스템은파일을구성하고데이터액세스를관리하기위해두부분으로구성– 관련된정보를포함하는실제적인파일들의집합체(데이터를실제로저장하는파일들)– 시스템내의모든파일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이를계층적으로연결하는디렉터 파일 시스템 개념 • 파일 시스템은 논리적인 저장 단위인 파일 자원을 관리하며, 파일의 생성과 삭제 등 파일을 액세스하고 제어하는 책임이 있는 소프트웨어 – 파일시스템설계• 사용자수, 사용자당 평균 파일 수와 크기 등 사용자 정보가 필요하고,해당 시스템에서 실행할 응용 프로그램의 특성을 이해하여 적합한 파일 구성과 디렉터리 구조 결정해야 함 파일 시스템의 기능-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create), .. 더보기 운영체제 (10주차 - 디스크 스케줄링과 파일 시스템) ○ 디스크의 정보는 드라이버 번호, 디스크 번호, 표면 번호, 트랙 번호 등으로 나누는 디스크 주소로 참조- 각 트랙은 다수의 섹터(sector)로 구성 + 각 섹터들은 일정한 공간 (inter-sector gab)을 두어 구분한다. • 디스크 주소 예제(문제) 어떤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는 양쪽 표면이 모두 사용되는 8개의 디스크가 있는데, 각 표면(2개)에 는 16개 트랙과 8개의 섹터가 있다. 트랙 내의 각 섹터에 하나의 레코드(1개) 가 있다면 디스크 내의 레코드에 대한 주소 지정에는 몇 비트가 필요한가? 레코드 총 수 = 디스크 수 x 면 수 x 면당 트랙 수 x 트랙 당 섹터 수 x 섹터당 레코드 수= 8 x 2 x 16 x 8 x 1 = 2048개. 즉, 이 레코드에 대한 주소 .. 더보기 운영체제 공부 (9주차 - 캐시 기억장치 관리) 일단 이거는 생각날때마다 보시고.. 캐시기억장치의 개념 ■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와 데이터 중의 일부를 임시적으로 복사해서 저장하는 장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출하는 속도가 주기억장치보다 빠름 => 결과적으로 캐시기억장치는 느리게 동작하는 주기억장치와 빠르게 동 작하는 중앙처리장치 사이에서 속도차이를 줄여줘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의 데이터와 명령어 처리속도를 향상시킴 그래서, 고속 완충 기억 장치로도 불린다. 기억장치의 계층적으로 분류하는데. 넓이 : 저장 용량높이 : 가격둘레 : 처리 시간 § 중앙처리장치 내부• CPU의 처리속도와 비슷한 접근속도를 가진 레지스터들이 포함한다.• 이러한 기억장치는 높은 가격 때문에 많은 용량으로 구성하기 어렵다 § 캐시(Cache)기억장치• 주기억.. 더보기 이전 1 다음